이공(異空)의 등산

200.......... 2010.01.31 남한산성.

이공異空 2010. 2. 1. 16:02

 

 

 

 

 

 

 

*** 남 한 산 성(경기도 광주) ***

 

 

 

*

**

숨결이

느껴지는 산성

묵언의 침묵이 흐른길

일었다 사라진 물거품 마냥

고성 지키던 영웅들 모습은 간데없어

* **떠올리며 그렸던 모습 다시 저만치 가버리네** *

*  * * * * *  *  * * * * *  *

옛것의 아픈상처 한잔의 술로 달래고

꼬불진 산성처럼 헝클진 마음

봄 기운에 녹여나 볼까

꿈속에서 흘리던

내뺨을 적신

눈물아

**

*

 

 

 

 

* 산 행 코 스 *

 

마천역2번출구--남광약수--연못--능선--연주봉옹성--서문--수어장대(480m)--남문--동문--장경사--북문--상가지.

 

 

 

 

* 산 행 시 간 *

 

마천역(10:20)---------------------수어장대(13:15)--------------------4.80km (2시간55분소요).

수어장대(13:15)----------상가지 버스정류장(18:10)----------5.50km (4시간55분소요). *중식시간포함

총 산행시간 : 10.30km (7시간50분 소요됨).

 

 

 

 

남한산 코스안내도

 

 

 

 

 

 

 

 

 

 

 

마천역 2번출구에서 함께할

일행 16명이 출발한다 

 

 

 

 

 

 

 

 

 

 

 

 

동네 주택가를 거쳐서

비호공수부대 정문과

버스종점을 경유

 

 

 

 

 

 

 

 

 

 

 

 

길 양쪽으로 코와 눈를 자극하는

음식점들과 등산복매장을

통과해서 마지막

콜핑매장에서

좌측으로

오른다

 

 

 

 

 

 

 

 

 

 

 

 

 상가지 끝 공터에서

오늘산행의 개념을 대장으로부터

숙지하고 각자소개를 마친후

왼편 산길로 접어든다

 

 

 

 

 

 

 

 

 

 

 

 

 완만한 산길을 편안히 오른다

등로길 나올때마다

계속 왼편으로

방향잡고

 

 

 

 

 

 

 

 

 

 

 

 

약수터 한곳을지나

남광약수터를 지나는데

북쪽 빙판길이라

엄청 힘든다

 

언제 부턴가

체인젠을 착용하면

발바닥과 무릅에 충격이 심해

왠만한 길은 그냥

걷기로 마음을

굳쳤고

 

 

 

 

 

 

 

 

 

 

 

 

 

연못 위에서 일행모두

기념촬영도 하며

 

 

 

 

 

 

 

 

 

 

 

 

서북능선과 만나는

삼거리에 도착 

 

 

 

 

 

 

 

 

 

 

 

 

 

 

일행중 한분이 가져오신

발렌타인 21년산

한잔씩 나눠

마신후

 

 

 

 

 

 

 

 

 

 

 

 

따스히 내려주는 햇살속에

연주봉옹성으로 오른다 

 

 

 

 

 

 

 

 

 

 

 

 

 

작년 유월에 한번 왔었던

연주봉옹성 도착 

 

 

 

 

 

 

 

 

 

 

 

 

 그리고 주성곽 바깥길따라

발길 이어서 간다

 

 

 

 

 

 

 

 

 

 

 

 

 

 

남성대 골프장과

송파구 일대를 내려볼수있는

전망대를 지나니 

 

 

 

 

 

 

 

 

 

 

 

 

인조임금이 청나라에

항복하기위해 출성했던 문이라는

서문을 처음으로 대한다 

 

 

 

 

 

 

 

 

 

 

 

 

서문을 통해 성안으로 들어선다 

 

 

 

 

 

 

 

 

 

 

 

 

 정교하게 쌓아올린

옛날과는 왠지 어울릴것 같지않은

그런 성곽길 따라

천천히 걷는다

 

 

 

 

 

 

 

 

 

 

 

 

 서문근처의 손상된 성을

인근주민들이 자진해 보수하여

이를 찬양하기위해

부윤이 찬양글을

새겨넣은

병암

 

 

 

 

 

 

 

 

 

 

 

 

 그리고 전시의 지휘본부격인

수어장대에 도착한다

2층으로 증축한

수어장대

 

청량당

무망루

매바위

기념비

 등등

 

 

 

 

 

 

 

 

 

 

 

중식을 마친후

다시 산성길 여장따라

걸어간다 

 

 

 

 

 

 

 

 

 

 

 

 

 남문(지화문)에 도착

 

 

 

 

 

 

 

 

 

 

 

 

성 밖으로는 주변이

정돈되어 있었고 

 

 

 

 

 

 

 

 

 

 

 

 

4대문중 제일 규모가 큰

남문을 뒤로한채

동문을 향해

또다시

발을

띈다 

 

 

 

 

 

 

 

 

 

 

 

 

 

 되돌아본 남문모습

 

 

 

 

 

 

 

 

 

 

 

 

 제2 남옹성치에 도착

 

 

 

 

 

 

 

 

 

 

 

 

 이곳 옹성은 복원작업이 한창이였고

건너편으로는 검단산 봉우리가

바라 보이고 있다

 

 

 

 

 

 

 

 

 

 

 

 

 

옹성치에서 함께한님들과

기념사진 한장 담고 

 

 

 

 

 

 

 

 

 

 

 

 

남장대지의 주춧돌만 확인한채

동문을 향해 또다시

발걸음을

옮긴다 

 

 

 

 

 

 

 

 

 

 

 

 

 아직 녹지않은 잔설의 장난기를

외면한채 길을 재촉하고

 

 

 

 

 

 

 

 

 

 

 

 

 

남쪽길게 드러누운 산길은

햇볕에 녹아들어

눈길만큼 미끄러운

진흙밭을 딛고

내려선다 

 

 

 

 

 

 

 

 

 

 

 

 

 

 이곳 여장은

헝클어진 모습으로

옛것을 그냥 남겨두기 위함인지

보수를 하지않고

있었다

 

 

 

 

 

 

 

 

 

 

 

 

 

 경사진길 다 내려오니

차도와 만나는 동문에 도달한다

작년엔 여기서 마무리 했었는데

오늘은 북문까지

가자!

 

 

 

 

 

 

 

 

 

 

 

 

 

동문 좌측변으로

된비알길은

이어졌고 

 

 

 

 

 

 

 

 

 

 

 

 

 

긴 오른짓 끝에 송암정이라는

황진이에 얽힌사연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산모퉁이 돌아서니

장경사 일주문을

마주한다 

 

 

 

 

 

 

 

 

 

 

 

 

 

 

 성벽 축조에 동원된

승군들의 숙소로 사용키위해

7개의 사찰건립을 했는데

오직 장경사만

남았다

한다

 

 

 

 

 

 

 

 

 

 

 

 

 

 

암문을 통해 밖에 나가보니 

 

 

 

 

 

 

 

 

 

 

 

 

 

장경사 신지옹성이 보인다

왼편으론 남한산과

벌봉도 보이고 

 

 

 

 

 

 

 

 

 

 

 

 

 

 

 신지옹성을 지나서 부터는

여장길따라 가는

길모습이 분위기

있어 보인다

 

 

 

 

 

 

 

 

 

 

 

 

 

 

 벌봉으로 갈수있는 암문

잠시 밖에서 조망을하고

왼변길 북문을 향해

발길 잇는다

 

 

 

 

 

 

 

 

 

 

 

 

 

 

 북쪽이라 돌계단에 얼음이 깔려

조심스레 급경사를 내려서지만

일행들 넘어지는 소리가

귓가를 울려댄다

 

 

 

 

 

 

 

 

 

 

 

 

 

 

 다 내려온 길을 뒤돌아보니

곡선의 여장길이

참으로 멋져

보인다

 

역사의 아픔은

까마득히 잊은채

풍광속에

빠져든

이길

 

 

 

 

 

 

 

 

 

 

 

 

 

세상의 모든 시름

한걸음 한걸음에 내려놓은채

무아의 발걸음을

옮겨간다 

 

 

 

 

 

 

 

 

 

 

 

 

 

많은시간 걸어 왔는가 보다

하늘빛이 붉게 물드는

 

선조들의 눈물과

피와 땀으로

범벅된

이길 

 

 

 

 

 

 

 

 

 

 

 

 

 

 굽어진 산성길 만큼니아

굵게패였을 인고의 이길로

조상들의 숨결을

들으며 간다

 

 

 

 

 

 

 

 

 

 

 

 

 

 

다시오지 않을 시간 끝으로

걷고 걸어가고

있었다

 

 

 

 

 

 

 

 

 

 

 

 

 

 

 하얀 설밭에

발자욱 선따라 나도 남기며

그들과 함께

호흡하며

간다

 

 

 

 

 

 

 

 

 

 

 

 

 

 

해가 기울었을때

북문에 도착 

 

 

 

 

 

 

 

 

 

 

 

 

 

나머지 연주봉옹성까지 가는

600미터 정도는 아쉬움으로 남겨둔채

오늘의 산성 트레킹은

여기서 마감

짓는다 

 

 

 

 

 

 

 

 

 

 

 

 

 

오늘 다 못하면

다음에 또 채우면 된다는

여유와 마음가짐이

산을 통해서

배우는가

보다

...

..

.

 

다음에

그들과 함께

다시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