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異空)의 등산

173.......... 2009.09.12 오봉산.

이공異空 2009. 9. 14. 21:18

 

 

 

 

 

 

 

*** 오 봉 산(춘천) ***

 

 

 

 

*

**

소양강

호수가에 비쳐진

오봉 긴 그림자는 푸르고

바람결에 고인 상사뱀의 아픔 담네

**가슴 져며오는 사연을 반짝이는 강물은 알려나 **

 

인연도 바람이요 사랑도 바람 인것을

망부석 애틋함을 가슴에 담아

한걸음 두걸음에 새겨

소양호 맑은물

긴 발자욱

적시네

**

*

 

 

 

 

 

*산 행 코 스*

 

배후령--1봉--청솔바위--오봉산정상(779m)--홈통바위--망부석--청평사--회전문--구성폭포--소양호선착장.

 

 

 

 

*산 행 시 간*

 

배후령(11:05)-------------------오봉산정상(12:20)------------------ 2.03km (1시간15분소요).

오봉산정상(12:20)---------소양호선착장(15:20)----------- 4.5km (3시간00분소요). *중식시간포함

총 산행시간 : 6.53km (4시간15분 소요됨).

 

 

 

오봉산 코스안내도

 

 

 

 

 

 

 

 

 

 

 

 

배후령에 도착

간단히 스트레칭을 마친후

들머리로 이동한다

 

 

 

 

 

 

 

 

 

 

 

 

 

들머리로

오늘이 4번째

들어선다

 

2003년경

등산 문외한으로

오봉 오른지도

벌써 6년이

흘렀나

보다

 

 

 

 

 

 

 

 

 

 

 

 

처음 10여분

능선으로 오르는길은

된비알 오름이라

거침숨결을

토 했고

 

 

 

 

 

 

 

 

 

 

 

 

첫 삼거리

직진하면 경운산 가는코스

좌측은 오봉산

코스

 

 

 

 

 

 

 

 

 

 

 

 

 

평지길 걷는다

숨을 고르며

편안히

 

 

 

 

 

 

 

 

 

 

 

 

바람 살랑이는

평지 쉼터에서 막걸리도 한잔

그리고 기념사진도

한장씩 담고

 

 

 

 

 

 

 

 

 

 

 

 

배후령으로 잇는

뱀처럼 휘어진 도로를

오늘도 또다시

바라본다

 

허물을 벗는듯

도로 주변으로

허연 속살이

보이는 것이

이채롭고

 

 

 

 

 

 

 

 

 

 

 

 

철다리

이녀석도 오늘은

나와 첫대면

눈 인사를

나눈다

 

 

 

 

 

 

 

 

 

 

 

 

청솔바위

 

흙하나 없는

척박한 환경에도

강한 생명력으로

삶을 영위하며

지내는 청솔

 

아마도

우리 인간 모습

일런지도

모른다

 

 

 

 

 

 

 

 

 

 

 

 

울퉁불퉁

바위 능선길을

쇠난간줄에

의지하며

오르니

 

 

 

 

 

 

 

 

 

 

 

 

간동면의 너른 들녘을

바라볼수 있었다

 

누렇게

변해가는 모습에서

또 한해를 보내야 하는

아쉬움이 마음에

멍울져 오고

있었다 

 

 

 

 

 

 

 

 

 

 

 

 

세월시간에 잠길즈음

오봉 정상석이

깨워준다

 

언제나

꼿꼿한 모습으로

나를 반겨주던 녀석

다시금 정상석

안아본다

 

 

 

 

 

 

 

 

 

 

 

 

정상을 내려와

널찍한 봉우리에서

중식을 하려고

식당을 구축 하자

하늘도 무심하게

 

우르릉 쾅쾅!

굉음을 내며

빗님을 내려

보내신다

 

 

에공!

빗물국에

밥 말어먹는

그날이

오늘

?

 

 

꿀맛같은

빗물찌게 맛은 또한

죽음 이였지

죽음!

 

 

 

 

 

 

 

 

 

 

 

 

식사를 모두 마치니

하늘비도 바람따라

같이 멎었고 

 

 

 

 

 

 

 

 

 

 

 

그렇게 산정 우중식사는

산만하게 이루어졌고

 

그것 또한 오봉의

추억거리로

머릿속에

남겨

!

.

.

 

 

 

 

 

 

 

 

 

 

 

 

 

오봉의 능선길따라

적송들과 맛선을 보며

바람같이 스쳐

지난다

 

 

 

 

 

 

 

 

 

 

  

 

산등을 바라보니

선계에 들어와

선안이 된다

마음도

... 

 

 

 

 

 

 

 

 

 

 

 

다시 발길 잇자

"잠시 검문이 있겠습니다" 의

고사목이 버티고

누워있다

건방

.

 

 

 

 

 

 

 

 

 

 

 

 

 

 우측 바우 모습

 

 

 

 

 

 

 

 

 

 

 

 

 

홈통바위 통과

없었던 쇠 구조물이

오히려 걸림돌이

돼 버렸다

 

 

 

 

 

 

 

 

 

 

 

 

 

안부에서

우측은 선동계곡과

보궁가는 코스

 

직진하면

소양호와 청평사 조망

 

그리고 암릉의

스릴을 맛보는

코스였기에

직진한다 

 

 

 

 

 

 

 

 

 

 

 

 

인생길에서도

뒤돌아 보는 시간이 필요하듯

지나친 발자욱을

바라본다

 

 

 

 

 

 

 

 

 

 

 

 

관상수 값어치는

얼마나 균형있게 자라며

가지의 꼬불림 비틀림

표피의 생김새가

좌우한다

 

오봉의 적송들이

그러하다

 

등로

내내

...

..

 

 

 

 

 

 

 

 

 

 

 

 

정토의 세계로 바라보던

소양호 모습

 

호수에 비쳐진

빛결따라

나도

흘러

.

.

 

 

 

 

 

 

 

 

 

 

 

그 새빛으로

바위 날등에 발길

주었고 

 

 

 

 

 

 

 

 

 

 

 

머물던 구름마냥

마음길도

두둥실

둥실

 

 

 

 

 

 

 

 

 

 

 

 

소양강 바라보며

돌아오지 않을 그리운님 향해

한없이 눈물짓

망부석는 오늘도

기다림의

사간을

 

 

 

 

 

 

 

 

 

 

 

  

 

암릉 내림짓은

4~5번의 단애구간이

쉽게 길 열어주질

않았었고

 

 

 

 

 

 

 

 

 

 

 

  

 

아래 부분은 뿌리일까

줄기일까?

 

 

 

 

 

 

 

 

 

 

 

 

불도량 청평사를

내려다 본다

 

 

 

 

 

 

 

 

 

 

 

 

바위절벽 조심조심

 

 

 

 

 

 

 

 

 

 

 

 

급경사 암 코스를

여유롭게

즐기며

간다

 

 

 

 

 

 

 

 

 

 

 

 

숲길따라 내려와

청평사를 만난다

 

 

 

 

 

 

 

 

 

 

 

 

경내에 쌓여진

돌들과 오래된 깨진 기왓장

누군가 정성을 담아

차곡차곡 마음을

쌓았고

 

 

 

 

 

 

 

 

 

 

 

 

회전문을 지날때

소원을 빌면

들어 준다는

전설이

있던데

...

 

소원!

무사산행으로

만족

 

 

 

 

 

 

 

 

 

 

 

 

쌓여진 기와 만큼이나

수많은 얼키고 설킨

속계의 사연을

모두 비우고

나선다

 

 

 

 

 

 

 

 

 

 

 

 

청량산 뒷편

오봉의 산등만큼

무거운 짐

비우고

 

 

 

 

 

 

 

 

 

 

 

 

넓고 편안한

흙내음 숲내음 맡으며

내려서니

좋았다

 

 

 

 

 

 

 

 

 

 

 

 

9가지 소리가 난다는

구성폭을 음미하며

내려서니

 

 

 

 

 

 

 

 

 

 

 

 

당나라 공주와

상사뱀의 사랑전설을

들려준다 

 

 

 

 

 

 

 

 

 

 

 

가을빛은

지붕가에서

조용히 찿아 들었고

 

붉은 낙엽은

가을속에

한잎두잎

쌓여만

간다

 

 

 

 

 

 

 

 

 

 

 

 

 청평교 지나

 

 

 

 

 

 

 

 

 

 

 

 

제일처음

8명이 들렀던 강변식당

우측에 보이는 할머님 혼자

일손이 부족해

 

우리일행들이

주인이 되어

빙어 튀김

매운탕

도리뱅뱅이등

손수 만들어 먹던

아름다운 추억이

서려있어 잠시

둘러보았다

 

그리고

할머님께

건강 하시라는

인삿말만

건넨체

돌아

선다

 

 

 

 

 

 

 

 

 

 

 

 

 선착장으로 터벅터벅

인생무상

 

 

 

 

 

 

 

 

 

 

 

 

 소양호 은빛물결을

가슴으로 받으며

따라간다

 

 

 

 

 

 

 

 

 

 

 

 

 배를타고 소양댐으로 온다

 

고 박정희대통령과

육영수여사의

담수비도

보고 

 

 

 

 

 

 

 

 

 

 

 

옛시절

먹고 즐기던

간식 거리를 지나

선착장을 빠져

나온다 

 

 

 

 

 

 

 

 

 

 

 

 

 소양댐 아래는

긴 햇살 붉은빛으로

하루 추억을 새겨

주었고

 

 

한결

가벼워진

빈 배낭에

추억 잎새를

가득 담고는

 소양강과

작별을

한다

 

 

 

 

 

 

 

 

 

 

 

 

 돌아오는 길

춘천시내 명동의

닭갈비촌에

들러서

 

 

 

 

 

 

 

 

 

 

 

 

매운

 닭갈비 안주에

한잔의 오봉 추억술에

가을 이야기 꽃으로

밝게 피웠던

하루

...

..

.

.

.